[따라하며 배우는 AWS 네트워크 입문] 정리 & 실습 과정 - 02장 VPC 기초
카테고리: DEVOCEAN YOUNG
📚 [따라하며 배우는 AWS 네트워크 입문] 책 가이드
위 책에 대한 정리와 실습 과정을 담았습니다.
1. VPC
- VPC(Virtual Private Cloud)란?
- 독립된 가상의 클라우드 네트워크 로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AWS 리소스를 실행할 수 있게 지원 -
사용자는 VPC 내에
IP 대역, 인터페이스, 서브넷, 라우팅 테이블, 인터넷 게이트웨이, 보안 그룹, 네트워크 ACL등을 생성하고 제어 가능
- 독립된 가상의 클라우드 네트워크 로 사용자가 정의한
- VPC 특징
| 특징 | 설명 |
|---|---|
| 확장성 | 클라우드 기반으로 손쉽게 VPC 자원 생성 및 삭제, 설정 및 관리의 편의성 제공 |
| 보안 | 인스턴스 레벨과 서브넷 레벨에서 Inbound 및 Outbound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 제공 |
| 사용자 중심 | VPC내 리소스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손쉽게 제어 가능, 네트워크 지표 및 모니터링 툴을 활용해 높은 가시성 제공 |
2. VPC 리소스 소개
1. 서브넷 (Subnet)
-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망
-
서브넷의 IP 대역은
VPC의 IP 대역에 속해 있어야 하며, 이미 예약된 IP 주소를 피해 할당해야 한다. - public, private 서브넷
publicsubnet: public IP를 가지고인터넷 게이트웨이를 통해 외부 인터넷 구간의 사용자와 통신 가능privatesubnet: private IP만 가지고 있어 자체적으로 외부 인터넷 구간의 사용자와 통신불가
→NAT 게이트웨이를 통해 가능 (밑에 설명)
2. 가상 라우터와 라우팅 테이블
- VPC를 생성하면
자동으로가상 라우터가 생성!로컬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팅 경로만 잡혀있음. -
아래와 같이 서브넷별로
새로운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해개별적으로매핑시켜줄 수 있음.
3. 인터넷 게이트웨이 : VPC에서 인터넷 구간으로 나가는 관문
4. NAT 게이트웨이
5. 보안 그룹과 네트워크 ACL → 자세한 내용은 밑에서
3. [실습 2-1] 퍼블릭 서브넷 VPC 구성
목표 : 단일 퍼블릭 서브넷 VPC 실습 환경을 구성하고, 이 서브넷에 속한 EC2 인스턴스가 외부 인터넷 구간으로 통신되는 과정 이해
1. VPC 생성
10.0.0.0/16 대역의 VPC 를 생성하여 가상의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한다.
이 가상의 네트워크에는 가상의 라우터가 존재하며, 기본 라우팅 테이블을 활용한다.
2. 퍼블릭 서브넷 생성
생성한 VPC 를 선택한 후, IPv4 CIDR 블록을 10.0.0.0/24 로 지정
아직은 가상 라우터가 갖고 있는 기본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
3.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및 VPC 연결
외부 인터넷 구간과 통신을 하기 위한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생성하고 VPC 와 연결
연결했지만 인터넷 구간으로 향하는 라우팅 경로가 없기 때문에
외부 인터넷 통신은 불가능한 환경 🔥
4. 퍼블릭 라우팅 테이블 생성 및 서브넷 연결
라우팅 테이블은 VPC, 인터넷 및 VPN 연결 내 서브넷 간에 패킷이 전달되는 방법을 지정한다.
생성한 라우팅 테이블에 서브넷을 연결해주자!
이제 퍼블릭 서브넷은 기본 라우팅 테이블이 아닌 새로 생성한 퍼블릭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한다.
5. 퍼블릭 라우팅 테이블 경로 추가
현재 퍼블릭 라우팅 테이블에는 외부 인터넷 통신을 위한 라우팅 경로가 없다 🔥
모든 네트워크 (0.0.0.0/0)가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향하는 라우팅 경로를 추가해주자
이제 검증을 해보자!
6. EC2 인스턴스 생성
생성한 VPC와 서브넷을 지정해주자
7. EC2 인스턴스 접근 후 통신 확인
EC2 인스턴스의 퍼블릭 IP 주소를 확인하여 SSH 접근을 해보자
1
$ ping [google.com](http://google.com)
목적지 타깃을 google.com으로! 외부 인터넷으로 정상적인 통신이 가능
댓글남기기